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기업에 뉴저지 E-ZPass 운영권 넘겨, 국가안보 우려 제기돼… 트럼프 행정부 개입 가능성도 대두
전문가들은 뉴저지 턴파이크 당국이 최근 체결한 17억 3천만 달러 규모의 E-ZPass 운영 계약이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기업에 낙찰된 것과 관련해 국가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이번 계약은 미국 기반 기업을 제치고 싱가포르 기업이 인수한 트랜스코어(TransCore)사에 돌아갔으며, 이 과정에서 중국 공산당 고위 인사의 개입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제프 밴드류(Jeff Van Drew) 연방 하원의원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계약이 군사 장비의 이동과 시민들의 이동 패턴 등 민감한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심각한 보안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트랜스코어를 인수한 싱가포르 테크놀로지스 엔지니어링(ST Engineering)의 모기업인 테마섹 홀딩스(Temasek Holdings)의 이사회에 최근까지 중국 공산당 고위 인사가 재직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우려는 더욱 깊어지고 있다.
더욱 논란이 되는 것은 뉴저지 턴파이크 당국이 콘듀언트(Conduent Inc.)사가 제시한 2억 5,100만 달러가 더 저렴한 입찰가를 제치고 트랜스코어와 계약을 체결했다는 점이다. 뉴어크에 본사를 둔 콘듀언트는 지난해 10월 이에 대한 공식 이의를 제기했으며, 현재까지도 논의가 진행 중이다.
폴 카니트라(Paul Kanitra) 뉴저지 주 하원의원은 트랜스코어가 지난 9월 운영을 시작한 이후 서비스 품질이 오히려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 입법서비스국을 통해 계약서 전문을 확보하고, 계약 무효화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ST Engineering의 트랜스코어 인수를 검토할 수 있는 권한이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가 이 계약을 무효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트랜스코어의 휘트 홀(Whitt Hall) 대표이사는 성명을 통해 자사가 1939년 설립된 이래 미국을 기반으로 운영되어 왔으며, 수집된 개인정보나 보호대상 데이터는 어떠한 외국 기업이나 관계사와도 공유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또한 미국 법무부와 재무부의 국가안보협약을 준수하고 있으며, 모든 사이버보안 요건을 엄격히 이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러한 해명에도 불구하고, 뉴저지주의 주요 교통 인프라 운영권이 중국과 연계된 기업에 넘어간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특히 군사 시설이 밀집해 있는 뉴저지주의 지정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이번 계약이 국가안보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첨단 기술과 인프라 분야에서 국가안보와 경제적 이익이 충돌하는 대표적 사례라고 분석하고 있다. 향후 미국 정부의 개입 여부와 계약 재검토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뉴저지 주민들의 개인정보 보호와 국가안보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